손저림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는 증상입니다. 갑자기 손이 저리는 것은 단순한 피로보다 더 깊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방치하면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손저림의 주요 원인과 대처법을 알아봅시다.
손저림 증상 이해하기 손목터널증후군
손저림, 단순히 저리다 끝이 아니죠? 손바닥 전체가 저리기도 하고, 특정 손가락에만 나타나거나 심지어 손목이나 팔꿈치 통증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어디가, 어떻게, 언제 아픈지 정확히 아는 것이 원인을 찾는 첫걸음입니다.
이 다양한 증상 중 많은 분들이 겪는 대표적인 원인은 바로 손목터널증후군입니다. 손목 안쪽의 좁은 통로인 손목터널에서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생기는 질환인데요, 주로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에 저림이 나타납니다. 심해지면 감각이 둔해지고 엄지손가락 근육이 위축되어 힘이 빠질 수 있어요. 특히 밤에 타는 듯한 통증으로 잠 못 이루는 경우도 흔합니다. 아시죠? 잠 못 자면 다음 날 컨디션 바닥인 거!
치료법은 초기에는 소염 진통제나 손목 보호대, 스테로이드 주사 등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심하면 수술까지 고려하게 됩니다.
이 증상은 여성, 비만, 고령, 당뇨병 환자에게 더 흔하고, 손을 많이 쓰는 분들에게도 잘 생깁니다. 한번 겪으면 재발하기 쉬우니 평소 손목 스트레칭과 사용 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죠. 하지만 손저림이 꼭 손목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다음 장에서는 목이나 다른 신경 문제로 인한 손저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추와 말초신경 압박으로 인한 손저림
어제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해 이야기 나눴죠? 손저림이 손목만의 문제가 아니라 목에서도 시작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경추질환, 즉 목디스크가 주범일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는 목뼈 사이의 디스크가 튀어나와 경추신경을 누르는 건데요, 어느 신경이 눌리느냐에 따라 증상도 달라집니다. 특히 4번에서 7번 신경이 압박되면 어깨, 팔은 물론 손까지 저리고 아플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처럼 신경 문제라 방치하면 감각 저하나 심지어 마비로 이어질 수 있으니, 이상 신호가 오면 빨리 진찰받는 게 중요하죠.
다음은 말초신경병증입니다. 이건 손과 발로 연결되는 말초신경 자체에 문제가 생기는 건데요, 흔히 양쪽 손발에 저릿저릿하거나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당뇨병과 관련이 깊지만, 당뇨가 없어도 나타날 수 있어요. 치료는 약물부터 운동, 물리치료 등 여러 방법이 병행됩니다.
그리고 의외로 흔한 척골신경압박증후군도 있습니다. 팔꿈치 뒤쪽을 지나가는 척골신경이 눌려서 생기는데, 주로 팔꿈치가 아프고 새끼손가락이랑 약지 손가락이 저리고 시립니다. 책상에 팔꿈치 괴고 스마트폰 오래 보시는 분들, 뜨끔하시죠? 이 상태가 오래되면 감각이 둔해지고 심하면 근육까지 위축될 수 있으니, 자세 교정부터 서둘러야 합니다. 결국, 손저림은 우리 몸이 보내는 ‘자세 좀 바꿔라!’, ‘관리 좀 해라!’ 하는 경고일 수 있다는 거죠.
혈액순환 장애와 기타 손저림 원인
손저림이 꼭 신경 문제만은 아닙니다. 때로는 혈액순환장애 때문일 수도 있죠. 손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원활치 않아 저림이 생기는 경우인데요. 특히 심장 펌프 기능이 약해 손발 말단 부위로 피가 잘 안 가면, 이는 심장 문제의 신호일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특정 상황에서 손발 혈관이 과도하게 수축해 피가 잘 안 통하는 질환, 바로 레이노 증후군입니다. 저림뿐 아니라 손가락/발가락 색깔이 하얗거나 파랗게 변하기도 하죠. 추운 곳이나 스트레스 시 주로 나타납니다.
이 외에도 손저림은 단순한 손의 과사용으로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질환이 없다면, 하루 이틀 정도 푹 쉬면서 증상을 지켜보는 것이 좋죠.
하지만 손저림이 지속된다면 단순 피로로 치부하지 말고 전문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우리 몸이 보내는 신호, 혹시 놓치고 있는 건 아닐까요?
마무리
손저림은 손목터널증후군, 경추 질환, 말초신경병증, 척골신경 압박, 혈액순환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부위와 양상에 따라 원인이 다르므로, 지속적인 손저림은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휴식 후에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건강을 지키세요.